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폐가전 무상신청(폐가전 버리기) 가입 없이 공짜로 수거해가심

by 무우노 2024. 7. 27.
반응형

 

오늘은 컴퓨터 관련 꿀팁은 아닌데

장비들 고장난 것 중에

당근하긴 귀찮고 버려야하는게 있어서

찾아보다가 글 남겨봄

 

주위에 보니 은근 모르는 사람들 많길래

공짜고 가입 필요없음 ㅇㅇ

 

 

 

일단 가전제품 버리기

단점

 

냉장고, TV처럼 큰건 그냥 막 버리면

폐기물 관리법에 의해서

100만원 이상 과태료 때려맞을 수 있으니 주의할 것

가끔 아파트나 빌라 앞에 보면

경고딱지 붙은 것들 보이는데 다 그런것임

 

 

 

 

폐가전 방문수거 배출예약시스템

 

누르면 이동함

 

 

 

신청 전에 알아야 할 것

 

 

 

일단 버릴 물건의 크기를 구별해서 신청해야 함

 

중소형 / 대형

 

 

직관적으로 구분하는 방법은

1m 미만이면 중소형으로 보고

그 이상은 대형으로 처리한다고 함

 

근데 여기서 알아야할거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어서

헷갈리면 지자체에 물어보는게

 

소형가전 중형가전
가습기, 헤어드라이기, 튀김기, 토스트기, 에어 프라이기, 전기히터, 제빵기, 족욕기, 청소기, 커피 메이커, 전기온수기, 전기주전자, 전기프라이팬, 전기 비데, 전기안마기(의자 제외), 전기밥솥, 전기다리미, 음식물 처리기, 유무선 공유기, 영상 게임기, 선풍기, 스캐너, 비디오플레이어, 믹서기, 내비게이션, CCTV, 식품건조기, 재봉틀, 유무선 공유기, 연수기, 약탕기, 휴대폰 컴퓨터 본체, 컴퓨터 모니터(CRT, LCD),
프린터(레이저, 비 레저),
오디오(본체),
오디오(포터블),
오디오(스피커),
팩시밀리

 

대형가전
냉장고(가정용, 업소용) , 냉동고, 김치냉장고, 쇼케이스, 일반 세탁기, 드럼세탁기, 탈수기, 에어컨(실내기), 에어컨(실외기), 에어컨(일체형), TV(CRT, LCD, LED), TV 프로젝션, 태양광 패널, 인버터, 전기오븐, 자동판매기, 러닝머신, 식기건조기, 식기세척기, 복사기, 전기 정수기, 냉온수기, 공기청정기, 전자레인지, 제습기

 

 

 

무상 방문 신청하기(공짜)

 

이거 개꿀인점.

직접 기사님이 집까지 오시기 때문에

무거운거 끙차끙차 옮길 필요가 없음.

 

수수료도 낼 필요 없이 공짜니까 신청 안할 이유가 없음

특히나 대형가전 옮기려다가 허리 부러지지 말고

이런 식으로 시스템 잘 되어있으니까 이용하는거 추천

이게 싫으면 다른 방법도 있는데

당근마켓 무료나눔 올리면 은근 사람들 잘가져감

 

근데 난 내 집주소 노출되는게 싫다 하면

이런거 이용하는게 제일 최적의 방법

요새 하도 이상한 사람들이 많아서 조심하는게 좋긴 함

 

 

 

이용 방법

 

 

일단 사이트로 들어가야함

 

 

순환거버넌스

 

접속한 후에 예약하면 되고

아니면 1599-0903으로 전화하면 됨

 

예약 신청은

평일 기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8:00~오후 6:00 안에만

예약 신청 가능

 

 

 

주의사항

 

 

약간 치명적인 단점인데

만약 버려야 하는게 중소형 가전이다?

(가습기나 청소기, 헤어드라이기 등)

 

한번에 몰아서 버려야 한다는거임

5개 이상 배출해야 수거해감

 

근데 대형가전이 하나라도 껴있으면

소형가전 1개 껴도 버리기 가능

 

 

 

 

 

다른 방법

 

 

 

 

1.

 

모바일 앱 '여기로' 이용해서도 가능.

 

근데 단점은 차량 진입이 가능한 건물이나 외부 '지정장소'에

내가 직접 배출을 해야함.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담기 힘든 큰 폐기물이 보통 해당하고,

신청 페이지 보면 자세하게 나와있음.

 

2.

 

스티커 붙여서 버리기도 가능.

 

이건 그냥 일반적인 방법인데,

편의점이나 마트, 주민센터에서 배출용 스티커를 팜

그럼 부착해서 수거지역에 내놓으면 됨.

(이건 각 구청 대형폐기물 신청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배출 정보 입력해야 함)

그리고 꼭 스티커 붙여서 내놓아야 하니 참고할 것.

 

스티커 가격은 물건마다 다르기 때문에

걱정되면 홈페이지에서 미리 검색해서 얼마인지 확인해 보고

가는 것 추천함.

 

6000원짜리도 있고 2000원짜리도 있고 다양함

 

 

3.

 

전용 수거함에 버려도 됨.

 

아파트나 원룸 근처에 둘러보다 보면

일부 지역은 중소형 가전제품 전용으로 수거하는 수거함이 있음.

이건 없는 곳도 많기 때문에 충분히 검색해 보고 가는 것 추천.

(헛걸음 할 수 있음)

 

4.

 

판매사에 폐가전 수거요청해도 됨.

 

법적으로 전자제품 등 자원순환법에 따라서 폐가전을 회수하는 것이 의무임

때문에 제조사 확인하고 해당 제조사 고객센터에 문의해서

예약 날짜 맞춰놓으면 기사님이 방문해서 수거해 가심.

근데 단점은 제조사가 다 다르면 하나하나 연락해야하기도 하고

귀찮다는거?

근데 좋은건 깔끔하다.. 서비스도 확실하시쟈나요.

 

 

 

 

 

 

 

5.

 

휴대폰 기부할 때에는 나눔폰 기부 가능.

 

보통 당근마켓으로 판매하기야 하겠지만

좋은 곳에 쓰이고 싶다

개인정보 찝찝하다 하면 기부할 수도 있음.

 

접수->택배 착불->자원순환->기부금 영수증발급 이런 식

연말에 기부금 영수증을 받아서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는 혜택 있으니 참고!

 

 

 

 

오늘은 이렇게 폐가전수거에 대한 글을 다뤄봤는데,

모든 내용이 공짜이니 참고하면

언젠간 도움 될거라 생각함.

 

 

반응형